스프링에서 테스트 코드 작성 중 엔티티의 영속화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면@Transactional이 아닌TransactionTemplate를 사용해볼 수 있다.테스트 코드에서 @Transactional은 테스트 시작시 열리고 테스트가 끝나면 롤백된다. @AfterEach@Transactionalvoid delet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SocialId(SocialType.KAKAO, "2gjdkl12333").get(); log.info("해당 id 삭제 ={}", member.getId()); memberRepository.deleteMember(member); }위 코드가 실행되면 member는 비영속화상태이기에 실패한다.Remo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