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74

백준 1036번 : 36진수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36진수 골드 1 📖 문제  주어진 입력 중 Z로 k개 만큼 바꾸고 모두 더한 값이 최댓값이 되게 구하고, 그 값을 36진수로 변환하여 출력 정말정말 많은 시간을 썼고, 다른 블로그의 앞부분만 슬쩍봐서 큰 수를 어떻게 다루는지 참고하면서 풀었다. 결국에는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와 로직이 맞았고, 큰 수를 다루는 BigInteger를 잘 안써서 떠오르지 못했던 것이다..   나의 경우 0~9 는 배열 각 인덱스 0~9에 1:1로 사용A~Z는 -'7'을 해주면 'A' - '7' = 10이 되므로배열을 35까지 만든 후 배열의 인덱스 0~9 A~Z까지 0~35로 사용하였다. 이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Z로 바꾼 K개의 숫자가 무엇이냐다.맨 앞자리 수를 Z로 만든다고 무조건 최댓값이 나오는..

baekjoon/String 2024.08.28

백준 1004번 : 어린 왕자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어린 왕자 실버 3 📖 문제 두 점 사이의 거리 공식을 이용하면 쉽게 풀리는 문제이다. 행성 경계의 좌표와 시작, 끝 지점의 좌표사이의 거리를 구하고그 거리가 행성 경계의 반지름 보다 짧다면 이는 그 행성 안에 시작점이나 끝 지점이 있다는 뜻이고이는 1번 진입/이탈을 해야한다는 의미이다.  중요한 점은 시작 점과 끝점 둘 다 한 행성 안에 있을 수 있다. 이때는 진입/이탈이 없다.따라서 시작 점이 행성 경계 안에 있는 경우 와 끝점이 행성 경계 안에 있는 경우만 따지면 된다.🔅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static class Planet { int x,y, r; ..

baekjoon 2024.08.27

백준 17298번 : 오큰수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백준 17298번 오큰수 골드 4 📖 문제 오큰수는 현재 요소보다 크면서 가장 왼쪽에 있는 수이다.그렇다고 무작정 모두 비교하며 찾기에는 O(n^2)이 걸린다. 수열의 크기가 100만까지인 걸로 보아 1초안에는 절대로 불가능하다. 수열을 잘 생각해보자문제에서 [3, 5, 2, 7] 을 보면3은 바로 뒤 5가 있으므로 55 와 2는 7이 오큰수가 된다.  오른쪽 수가 크지 않다면 담아놓고담아놓은 수보다 큰 수가 나오면 이 수가 오큰수가 된다.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자료구조가 스택이다.  사실 단순한 스택문제이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

백준 1149번 : RGB 거리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RGB 거리 실버 1 📖 문제 DP 문제로현재 집 비용 + 이전 집에서 현재 집 열이 아닌 2 곳 중 가장 적은 비용을 가진다. 점화식을 세워보면 이렇다. dp[i][j] = Math.min(dp[i][j+1], dp[i][j+2]) + house[i][j];물론 한 행에 집은 3개이므로 현재 열을 제외한 다른 집 중에서 가장 적은 비용을 선택하므로% 연산이나 if문을 써서 현재 집 열을 피하면 된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

baekjoon/DP 2024.08.26

백준 1541번 : 잃어버린 괄호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잃어버린 괄호 실버 2 📖 문제 이 문제같은 경우첫번째 수를 저장한 뒤 +가 나오면 더해준다. 그런데 한 번이라도 -가 나오면 그 뒤에 아무리 많은 +가 나와도 처음 나온 - 때문에 이들은 전부 합한 후 -로 빼게 된다. 따라서 한 번이라도 - 가 나오면 저장 한 수에 계속해서 -로 빼주면 된다.  예를 들어 아래의 입력이 주어진다고 하자1+2-4-5+2+3처음 1 +2까지는 더하고 -가 나왔으므로 괄호를 쳐서 최솟값을 만들어야 하기에 - 뒤에 나오는 +로 더해지는 모든 수들을 빼주면 된다.(1 + 2) - 4 - 5 - 2 - 3 = -11(1+2)  -4 - (5 + 2 + 3) =   -11  🔅 문제 풀이import java.io.*;public class Main {..

baekjoon/Greedy 2024.08.26

백준 10844번 : 쉬운 계단 자바

✔️ 출처쉬운 계단 수 실버 1 📖 문제중복 연산이 많이 일어나고 반복적이다.  이참에 다시 학교에서 배운 DP의 적용 요건을 복습하겠다.  최적 부분구조(Optimal substructure)큰 문제의 최적 해에 하위 문제의 최적 해가 포함하위 문제들의 중복 (overlapping recursive calls)재귀적 해법으로 풀면 같은 하위 문제에 대한 호출이 심하게 중복 재귀적으로 깊이만큼 0~9까지 +1 -1을 하면서 생성하다보면 엄청난 중복이 생김이전의 깊이에서 얻은 갯수를 재활용할 수 있을 것 같음. DP를 적용해보자 우선 0과 9는 1가지 밖에 없다.0 → 19 → 8따라서 0 과 9는 따로 처리하고 1~8까지는 -1 +1 숫자가 계단 수이니 이전 깊이의 -1 +1 숫자의 개수를 더한다.  ..

baekjoon/DP 2024.08.26

백준 11053번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실버 2 📖 문제 DP 문제로 현재 값이 이전 값보다 크다면 이전 값의 수열 개수와 현재 값의 수열 개수중 더 큰 값을 취하면 된다.  // j = i - 1 ~ 0까지if (arr[j]  문제의 예시로 현재 4번째 30이라고 하자 10 dp[4]는 처음 값은 0이므로 dp[3]의 값을 가진다. dp[3]은 1이다. (3번째 10은 이전에 증가하는 수열이 없고 10밖에 없음)그다음 2번째 20 dp[2] 는 2이므로 dp[4] = 2이고 이 연산이 끝나면 dp[4]에 30도 카운팅해주면 3이된다.   이 풀이에서 중요한 것은 수열의 크기가 1일 때는 수열의 길이도 1이라는 것이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

baekjoon/DP 2024.08.26

백준 2839번 : 설탕 배달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설탕 배달 실버 4 📖 문제 풀었던 문제를 보다가 꼭 다시 풀라고 메모를 적어놔서 다시 풀었다. DP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3 과 5로 나눠 떨어지지 않는 1 , 2, 4, 7 은 -1로 3 5 은 1로 미리 초기화한다.6도 미리 2로 초기화한다. N - 3과 N - 5 중 더 작은 값을 취하고 +1해주면 dp[N] 이 된다.  N에서 3키로를 한 봉지를 담고 [N-3] 키로일때 얻은 봉지 최솟값과N에서 5키로를 한 봉지를 담고 [N-5] 키로일때 얻은 봉지 최솟값 중 더 작은 값을 취하는 것이다. dp[i] = Math.min(dp[i - 3], dp[i - 5]) + 1;       🔅 문제 풀이import java.io.*;public class Main { p..

baekjoon/DP 2024.08.25

프로그래머스 Lv2 모음사전 자바

🧫 문제 분석✔️ 출처모음사전 level 2📖 문제 정말 어려워했던 문제이다.결국에는 풀었다.  A : 1E : 2I : 3O : 4U : 5로 바꾸고  이에 맞춰서 완전탐색을 해서 매개변수로 넘어온 word 와 equals로 비교한 후 같다면 깊이 탐색을 멈추고 count를 반환한다. 🔅 문제 풀이class Solution { int count = 0; boolean flag = fals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int solution(String word) { dfs(trans(word), 0); return count; } private void dfs(Stri..

백준 1931번 : 회의실 배정 자바

🧫 문제 분석✔️ 출처회의실 배정 실버 1 📖 문제 정렬 문제로 회의가 끝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하되 같다면 시작시간을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야한다.주의할 점은 끝나는 시간에 바로 다른 회의가 시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렬 후 마지막 회의 시간 보다 다음 회의의 시작시간이 크거나 같으면 이는 가능한 회의이므로 마지막 회의시간을 다음 회의가 끝나는 시간으로 바꾼다.   종료시간이 같다면 시작시간을 오름차순 정렬을 해야하는 이유예를 들어보면41 22 24 42 4 이것을 끝나는 시간으로만 정렬했을 경우입력 순서대로 1 22 24 42 4 이대로 들어왔을 것이고 마지막 회의시간은 2 -> 2-> 4로 되고 2 4 일때 마지막 회의시간 = 4 이기에 이 회의는 무시된다. 따라서 잘못된 답을 내놓게 ..

baekjoon/Greedy 2024.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