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ekjoon/DP 31

백준 1149번 : RGB 거리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RGB 거리 실버 1 📖 문제 DP 문제로현재 집 비용 + 이전 집에서 현재 집 열이 아닌 2 곳 중 가장 적은 비용을 가진다. 점화식을 세워보면 이렇다. dp[i][j] = Math.min(dp[i][j+1], dp[i][j+2]) + house[i][j];물론 한 행에 집은 3개이므로 현재 열을 제외한 다른 집 중에서 가장 적은 비용을 선택하므로% 연산이나 if문을 써서 현재 집 열을 피하면 된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

baekjoon/DP 2024.08.26

백준 10844번 : 쉬운 계단 자바

✔️ 출처쉬운 계단 수 실버 1 📖 문제중복 연산이 많이 일어나고 반복적이다.  이참에 다시 학교에서 배운 DP의 적용 요건을 복습하겠다.  최적 부분구조(Optimal substructure)큰 문제의 최적 해에 하위 문제의 최적 해가 포함하위 문제들의 중복 (overlapping recursive calls)재귀적 해법으로 풀면 같은 하위 문제에 대한 호출이 심하게 중복 재귀적으로 깊이만큼 0~9까지 +1 -1을 하면서 생성하다보면 엄청난 중복이 생김이전의 깊이에서 얻은 갯수를 재활용할 수 있을 것 같음. DP를 적용해보자 우선 0과 9는 1가지 밖에 없다.0 → 19 → 8따라서 0 과 9는 따로 처리하고 1~8까지는 -1 +1 숫자가 계단 수이니 이전 깊이의 -1 +1 숫자의 개수를 더한다.  ..

baekjoon/DP 2024.08.26

백준 11053번 : 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가장 긴 증가하는 부분 수열 실버 2 📖 문제 DP 문제로 현재 값이 이전 값보다 크다면 이전 값의 수열 개수와 현재 값의 수열 개수중 더 큰 값을 취하면 된다.  // j = i - 1 ~ 0까지if (arr[j]  문제의 예시로 현재 4번째 30이라고 하자 10 dp[4]는 처음 값은 0이므로 dp[3]의 값을 가진다. dp[3]은 1이다. (3번째 10은 이전에 증가하는 수열이 없고 10밖에 없음)그다음 2번째 20 dp[2] 는 2이므로 dp[4] = 2이고 이 연산이 끝나면 dp[4]에 30도 카운팅해주면 3이된다.   이 풀이에서 중요한 것은 수열의 크기가 1일 때는 수열의 길이도 1이라는 것이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

baekjoon/DP 2024.08.26

백준 2839번 : 설탕 배달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설탕 배달 실버 4 📖 문제 풀었던 문제를 보다가 꼭 다시 풀라고 메모를 적어놔서 다시 풀었다. DP로 풀 수 있는 문제이다. 3 과 5로 나눠 떨어지지 않는 1 , 2, 4, 7 은 -1로 3 5 은 1로 미리 초기화한다.6도 미리 2로 초기화한다. N - 3과 N - 5 중 더 작은 값을 취하고 +1해주면 dp[N] 이 된다.  N에서 3키로를 한 봉지를 담고 [N-3] 키로일때 얻은 봉지 최솟값과N에서 5키로를 한 봉지를 담고 [N-5] 키로일때 얻은 봉지 최솟값 중 더 작은 값을 취하는 것이다. dp[i] = Math.min(dp[i - 3], dp[i - 5]) + 1;       🔅 문제 풀이import java.io.*;public class Main { p..

baekjoon/DP 2024.08.25

백준 9461번 : 파도반 수열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파도반 수열 실버 3 📖 문제  DP문제다. 중복 연산이 포함되어있다.  12번째는 12 + 4 로 번호를 매겨보면 11번째 + 7번째 를 더한 것이다.  그런데 4또한 3 + 1이며 번호를 매겨보면6번째 + 2번째 를 더한 것이다.   이를 점화식으로 보면dp[n] = dp[n-1] + dp[n-5]  이렇게 볼 수 있다.  이전값 + dp[n-5] 가 아닌 이유는 이전 값 또한 어떠한 숫자들의 덧셈 결과일 수 있기 때문이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

baekjoon/DP 2024.08.24

백준 2579번 : 계단 오르기 자바

🧫 문제 분석✔️ 출처계단 오르기 실버 3 📖 문제 dp 문제로나올 수 있는 경우는 1.  2칸을 점프해서 도달2.  2칸 점프 + 한칸 앞으로 인 경우 뿐이다.  따라서  // 2칸 점프 도달 2칸 점프 후 한칸 앞으로 dp[i] = Math.max(dp[i-2] + stairs[i], dp[i-3] + stairs[i-1] + stairs[i]) 🔅 문제 풀이import java.io.*;import java.util.*;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

baekjoon/DP 2024.08.15

백준 1436번 : 1로 만들기 자바

🧫 문제 분석✔️ 출처1로 만들기 실버 3 📖 문제 3으로 나눴을 때 2로 나눴을 때 1을 뺐을 때   3가지 경우 중 더 작은 값을 찾으면 된다.  6을 예시로 보면6 / 3 의 최솟값 dp[6 / 3] + 1,6 / 2 의 최솟값 dp[6 / 2] + 1,6 - 1 의 최솟값 dp[6 - 1] + 1dp[2] = 1, dp[3] = 1, dp[5] = 3+1을 해주는 이유는 6에 대해 연산을 해주었기때문이다.  따라서 dp[6] = 2이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

baekjoon/DP 2024.08.15

백준 2156번 : 포도주 시식 자바

🧫 문제 분석 ✔️ 출처포도주 시식 실버 1 📖 문제 동적 프로그래밍 문제이다.  문제를 보면1. 선택한 잔은 모두 마시고 원위치2. 연속으로 3잔 마시기 불가능 i = 3 부터 시작 1. 현재 잔 + dp[i - 2]2. 현재 잔 + 이전 잔 + dp[i - 3]3. dp[i - 1]    // 이전까지의 최댓값을 가진다.  이 세가지 중 max값을 찾으면 된다.    1. 현재 잔 + dp[i - 2]2잔을 마시고 한 칸 뛰고 한 잔을 마신 경우이다.  1 2 3 번째 잔을 연속해서 마실 수 없으므로 dp[1]의 값 즉, 0과 1 번째 잔을 마신 최댓값 을 더한다.  2. 현재 잔 + 이전 잔 + dp[i - 3] 한 잔을 마시고 한 칸 뛰고 연속으로 2잔을 마신 경우이다.dp[0] 잔까지 마시고..

baekjoon/DP 2024.08.07

백준 2193번 : 이진수 자바

🧫 문제 분석✔️ 출처이진수 실버 3 📖 문제  내가 이해한 바로는    이런느낌이다.3번째를 만들어준 2번째의 수의 경우와 2번째를 만들어준 1첫째 수의 경우의 합이라는 느낌이다.  🔅 문제 풀이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import java.io.IOException;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long[] dp;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baekjoon/DP 2024.07.10

백준 9095번 : 1, 2, 3 더하기 자바

🧫 문제 분석✔️ 출처1, 2, 3 더하기 실버 3 📖 문제  DP(동적계획법) 문제이다. 우선 1 과 2 그리고 3을 구하는 경우의 수를 봐보자 1 1 21 + 1231 + 1 + 12 + 11 + 23 문제에서 예시로 4를 구하는 방법이 나와있다. 4를 구하는 방법은 크게 보면1 + 3 2 + 23 + 1 이 세가지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1, 2, 3을 통해서 방법의 수를 구하기에 1을 고정해놓고 3을 구하는 경우의 수2를 고정해놓고 2를 구하는 경우의 수3을 고정해놓고 1을 구하는 경우의 수이 세가지의 합이 4를 구하는 경우의 수라고 볼 수 있다. 표로 보자면 이렇게 볼 수 있다.고정경우의 수1 + 1 + 1 + 11 + 22 + 132 + 1 + 123 + 1  🔅 문제 풀이impo..

baekjoon/DP 2024.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