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8번: 미로 탐색
첫째 줄에 두 정수 N, M(2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 각각의 수들은 붙어서 입력으로 주어진다.
www.acmicpc.net
문제
풀이
BFS를 사용하여 풀었다.
시작점이 (0,0)으로 고정되어있고 각 칸과 칸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고 이동할 수 있는 칸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결국에는 미로를 그래프로써 본다면 (N,M)까지 가는 거리는 그 높이만큼이 거리라고 볼 수 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cann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graph;
static boolean cheked[][];
static int N,M;
static int[] leftright = {1, -1, 0, 0};
static int[] updown = {0, 0, -1,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graph = new int[N][M];
cheked = new boolean[N][M];
for (int i = 0; i < N; i++) {
String line = br.readLine();
for (int j = 0; j < M; j++) {
graph[i][j] = line.charAt(j) - '0';
}
}
cheked[0][0] = true;
Queue<int[]> queue = new LinkedList<>();
queue.add(new int[]{0,0});
while (!queue.isEmpty()) {
int[] node = queue.poll();
for (int i = 0; i < 4; i++) {
int pre = graph[node[0]][node[1]];
int x = node[0] + leftright[i];
int y = node[1] + updown[i];
if (x < 0 || y < 0) {
continue;
}
if (x >= N || y >= M) {
continue;
}
if (!cheked[x][y] && graph[x][y] == 1) {
cheked[x][y] = true;
queue.add(new int[]{x,y});
graph[x][y] = pre + 1;
}
}
}
System.out.println(graph[N-1][M-1]);
}
}
이런 그래프 문제를 처음 접해서 그런지 오래걸렸다...
무엇보다 자꾸 사소한 변수 초기화 실수로 삽질을 많이 했다.
이번 문제를 토대로 DFS/BFS의에 대한 기반이 좀 더 다져진것 같다.
'baekjoon > Graph_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6234번 : 인구 이동 자바 (0) | 2024.06.29 |
---|---|
백준 실버1 숨바꼭질 1697 (0) | 2024.06.26 |
백준 2667번 : 단지번호붙이기 자바 (1) | 2024.01.16 |
백준 2606번 : 바이러스 자바 (0) | 2024.01.16 |
백준 1260번 : DFS와 BFS 자바 (0) | 2024.01.15 |